『아픔이 길이 되려면 - 정의로운 건강을
찾아 질병의 사회적 책임을 묻다』
학교폭력을 당한 다문화가정의 아이들에게 ‘그 경험 후에 어떻게 했냐?’고 물었습니다. ‘별다른 생각없이 그냥 넘어갔다’고 답한 남학생들이, 같은 경험을 한 여학생들보다 정신건강이 훨씬 더 나빴습니다. 힘들지만 아무에게 말할 수 없고, 아무렇지 않은 척해야하는 문화 속의 남학생들이 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거죠. 우리의 몸은 정직하기에, 차별, 혐오, 사회적인 참사, 불안정한 고용은 몸의 어딘가에 자국을 남깁니다. 아픔이나 병의 형태로요. 왜 어떤 병은 여성에게, 어떤 병은 가난한 이들에게, 어떤 병은 비정규직 일터에서 더 일어날까? 김승섭 교수는 질병의 데이터를 분석해서, 질병이 사회의 불평등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가슴이 뜨거워지는 에세이입니다.
#의사
#의학
#보건과학
#보건의료정책
#사회를공부하는_의사
#차가운데이터로_따뜻한사회를
#통계
#에세이
『숨결이 바람 될 때
- 서른여섯 젊은 의사의 마지막 순간』
폴 칼라니티 지음│이종인 옮김│흐름출판│2016년│284쪽
탁월한 연구업적으로 승승장구하던 36살의 젊은 신경외과 의사, 폴 칼라니티는 갑자기 폐암 말기로 죽음을 선고받습니다. 그는 의사로서 ‘병이 얼마나 진행되고 치료될 수 있나’하는 과학적인 질문에 익숙했었죠. 그러나 시한부 선고 후에는 ‘남은 삶을 어떻게 가치있게 살까’, ‘누구로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가’하는 환자의 실존적인 질문에 부딪힙니다. 유한한 생명을 가진 우리 모두가 언젠가는 묻게 될 질문이죠. 그는 의사, 남편, 아빠로, 죽어가면서도 “계속 나아가며” 의연하게 살아갑니다. 의사가 직접 경험한 죽음의 과정이 문학적으로 담겨있습니다.
#에세이
#의사
#신경외과
#시한부
#죽음
#실존적인질문에_답을주는_문학의힘
『제법 안온한 날들
- 당신에게 건네는 60편의 사랑 이야기』
글 쓰는 의사, 남궁인의 세 번째 따끈한 에세이입니다. 응급실에서의 지독한 하루를 그린 전작들과는 다르게, 의사인 ‘어떤 인간’의 일상과 감상을 더 담아냈습니다. 그래서 책은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와 그에 딸린 단상들을 오갑니다. 촌각을 다투는 응급실의 급박함과 여행의 여유로움, 죽음을 목도하는 고통과 사랑의 따뜻함, 우울감과 생기, 자괴감과 보람, 울음과 웃음이 교차합니다. 응급실 의사 개인의 일기를 엿보고 싶다면.
#의사
#에세이
#응급의학과
#죽음
#죽음의순간에진한사랑이
#어떤묘사는_머리속에_그리기가무서워
#17세이상추천
『나 개있음에 감사하오 - 개와 함께 한 시간에 대하여』
개가 시의 소재입니다. 스무 명의 젊은 시인들이 자신과 함께 살고 있는 혹은 살다간 댕댕이를 생각하며 시와 에세이를 썼습니다. 시인과 반려견의 사진도 함께 실려 있어요. 내가 분명 느꼈음에도 뭐라 표현할 수 없었던 느낌을, 시인들은 공들여 빚은 언어로 들려줍니다. 어떤 존재건 사랑고백을 하면 왜 눈물이 나는지요. 제목은 웃기는데, 자꾸 읽다보면 눈물이 맺힙니다.
#시
#시인
#에세이
#개
#반려견
『우아하고 호쾌한 여자 축구
- 한 팀이 된 여자들, 피치에 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