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최근 영화 의 개봉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다핵종제거설비 처리수(ALPS treated water, 일명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방류로 인해 원자력에 대한 관심이 다시금 높아지고 있다. 어떤 원소의 원자핵이 붕괴하며 방사선을 방출하는 현상을 방사능이라고 하며, 이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원자력이라 한다. 하지만 방사능과 원자력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이런 사전적 정의보다는 각종 오해와 편견, 수많은…
Read More

2023년 노벨생리의학상 mRNA 백신에 대하여

2023년 노벨생리의학상은 mRNA를 이용해 코로나 백신을 만들어 많은 사람을 구한 이들에게 돌아갔다. 노벨상의 취지인 ‘인류를 위해 노력한’ 공로를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제너가 처음으로 천연두 백신을 만들어낸 이래, 백신은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구했다.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를 위해, 백신의 원리와 면역력의 본질, 이를 둘러싼 다양한 시각들을 정리해보았다. 『백신, 10대는 무엇을 알아야 할까?』…
Read More

열여덟 살 독서클럽에서 읽은 책들

열여덟 살 사람, 다섯 명이 모여서 반년 동안 독서 모임을 진행했습니다. 독서의 테마는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고 사람을, 세상을 성찰하자는 것이었습니다. 그림책, 청소년 소설, 과학자가 쓴 에세이, 음식에 대한 사회학 책을 읽고 독서 모임을 했어요. 네 권의 책을 읽고 독서토론을 한 후 질문(과학기술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무엇일까?)을 정해서 네 권을…
Read More

제주에 수학여행 가기 전에 읽는 책

곧 제주에 수학여행을 가나요? 수학여행을 앞둔 마음은 마구 들뜨지요. 부모님 곁을 떠나 친구들과 사나흘 지내는 것이 가장 설레나요? 더구나 다른 곳이 아닌 아름다운 섬 제주로 수학여행을 간다면 마음 떨림의 정도는 더할 거에요. 제주를 미리 알고 가면 어떨까요? 제주의 역사를, 제주 화산섬의 형성 과정을, 제주에 살던 예술가를, 제주에 현재 살고 있는…
Read More

이종이식에 대해 알고 싶어요(독자요청)

이종이식이란 말 그대로 생물학적 종이 다른 개체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장기이식을 말한다. 우리 몸을 구성하는 장기들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단 하나라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심각한 불편을 초래하거나, 심지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그래서 어떤 장기가 더 이상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 이를 제거하고 다른 장기로 교체하는…
Read More

화, 하하하하학!

세상 모든 물질을 연구하는 과학인 화학, 존재하는 모든 것이 만들어지는 원리(化)를 연구하는 학문이자 적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화’를 불러 일으키는 대상이기도 하다. 세상 모든 물질의 기본 구성과 조합을 연구하는 화학, 좀더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책들을 찾아보자. 『세상의 모든 원소, 118』 시어도어 그레이 지음| 영림카디널|2012년|240쪽 화학은 주기율표에서 시작해서 주기율표로 끝난다. 고등학생…
Read More

눈과 손이 즐거운 과학그림책 – 종이책으로 만나는 아름다운 과학의 세계

이북은 편리하다. 언제든 스마트폰이나 전자패드만 있으면 무겁게 책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쉽게 책을 읽을 수 있으니까. 하지만 책만이 지닐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페이지를 넘길 때 나는 사각거리는 소리, 손 끝에 느껴지는 종이의 독특한 질감, 빛의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그림의 색... 종이책만이 가진 매력을 십분 발휘한 과학 그림책 & 과학…
Read More

과학자가 되고 싶어

한 때 아이들에게 가장 인기있던 직업이었던 과학자. 요즘은 세상이 변해 과학자가 되고 싶은 아이들이 줄어들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과학자라면 어딘가 대단해 보인다. 그렇기에 과학자가 되고는 싶지만, 어떻게 해야 그렇게 될 수 있는지 방법을 모르겠다. 과학자들은 어떻게 과학자가 되었을까. 각 분야의 과학자들이 직접 나서서 전해주는 과학자가 되는 방법 A to Z &…
Read More

인류의 기원을 찾아서

2022년 노벨생리의학상은 스웨덴의 고인류학자 스반테 페보 박사에게 돌아갔다. 고인류학이란 인류의 기원과 진화 과정을 밝히는 학문을 말한다. 다시 말해, 지금의 우리를 있게 하는 우리의 조상이 언제, 어디서 태어나서, 어떻게 자리를 잡고 지금까지 살아왔는지, 왜 그렇게 살아왔는지 그 생물학적 발자취를 밝히는 일이다. 우리의 기원을 아는 것은 결국 나 자신을 아는 바탕이 될…
Read More

사람과 세상을 생각하며 책을 읽고 있어요

우리는 가을과 겨울, 두 계절만 지속하는 독서모임입니다. 고등학교 2학년 네 명과 어른 한 명이 모였고요. 과학, 예술, 문학, 사회의 관점에서 책을 읽으며 사람과 세상을 생각하려고 해요.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과 세상을 성찰할 수 있는 책을 4종 정해서 읽고 있는데요. 그 책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우리처럼 사람과 세상을 깊이 생각하고 싶은 친구들에게 이…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