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와 통하는 한국 전쟁 이야기:
왜 전쟁 반대와 평화가 중요할까요?』
한국 전쟁 때 뿌려진 삐라들의 문구들을 통해 한국 전쟁의 이모저모뿐만 아니라 삐라에 담겨진 메시지 등을 쉽게 풀어 설명해주는 독특한 책이다.
피난민들은 어디로 갔나요?, 시민들은 왜 전쟁 부역자가 되었나요?, 한국군 작전권은 왜 미국에게 넘겨졌나요?, 공중 폭격의 목적은 무엇이었나요? 등등 한국 전쟁에 대한 궁금증을 질의응답 형식으로 보여준다. 모두 네 개 꼭지로 구성돼 있는데 첫 꼭지에는 전쟁이 일어나기 전 ‘한국 전쟁의 원인’ 에 관한 이야기로, 한반도가 분단되는 과정과 갈등을 다루고 있다. 두 번째 꼭지는 한국 전쟁을 ‘남침→인천 상륙 작전→북진→후퇴→휴전’이라는 군사 작전과 전쟁 상황을 시간 순으로, 세 번째 꼭지는 전쟁 상황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네 번째 꼭지는 한국 전쟁이 한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왜 전쟁 반대와 평화가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역사
#삐라로본한국전쟁
#문답식구성
#궁금한것부터먼저읽는재미
#해방부터현재까지쉽게풀어쓴현대사
#전쟁과한국사회
#전쟁반대와평화의이유
『전염병의 문화사:고려시대를 보는 또 하나의 시선』
권복규, 김영미, 이현숙, 김순자, 이정숙 지음|혜안|2010년|344쪽
코로나19로 인한 판데믹 발발 이후, 국가마다 제각기 다르게 대처하고, 다른 결과를 사회가 받아들이는 모습은 인상적이었습니다. 국가별로 의료 체계가 다른 점도 크게 영향을 미쳤을 거예요. 그렇다면 만약 천 년 전이라면 어땠을까요. 불교와 호족의 나라, 고려였다면요.
이 책에서는 고려 정부가 전염병을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애썼는지 아주 열심히 이야기합니다. 그 시기 전염병이 미친 정치·사회적 영향을 분석하기도 했고요. 당시 사람들이 전염병에 대해 얼마나 알았는지, 어떤 전염병이 돌았는지, 이에 대해 국가와 민간에서는 어떻게 대응했는지 읽다 보니 시간 가는 줄 모르겠습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관료제가 발달한 동아시아의 특성이 깊게 관련되어 있기도 하구나 싶었고요. 게다가 당시 불교가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까지 생각하다 보면, 우리는 종교와 전염병의 밀접한 관계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게 됩니다.
#전염병
#동양사
#고려사
#역사
#미시사
#살짝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