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할머니, 할아버지 – 이야기 속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모습 엿보기

어린 시절 외가에 놀러 갔던 기억이 날 때가 있다.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께서는 도시에서 온 손자인 나를 무척 반겨주셨다. 이제는 두 분 모두 돌아가셔서 그 따뜻한 눈빛을 볼 수 없다. 그러나 나의 아버지와 어머니께서 내 아들을 대할 때마다 그 따뜻한 시선을 느낀다. 할머니, 할아버지와 추억이 있다는 것은 살아가면서 참 소중하다는 생각이 든다.…
Read More

짧아도 재밌어! – 중학생이 읽을 만한 단편소설

“선생님, 이 소설의 결말이 뭐 이래요? 확실한 것이 없이 애매하게 끝나요.” 결말이 명확한 소설을 좋아하는 학생이 소설을 읽고 불만을 털어놓는다. 우리의 삶에 정답이 없듯이 소설의 결말에도 명확한 답이 없는 것이 당연할지 모른다. 특히 짧은 분량의 단편소설에선 확실한 결말로 끝맺을 때가 많지 않다. 그만큼 인간의 삶이 단순하지 않고 다양한 가능성이 열려…
Read More

함께해요, 우리2

“우리는 지구촌이란 표현을 쓸 때가 많다. 교통과 통신 수단이 발달하면서 지구가 하나의 마을이 되었다. 그만큼 지구의 이곳저곳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특정한 나라에서 시작한 바이러스가 지금 전 세계를 휩쓸면서 우리의 삶을 바꿔놓는 것처럼. 그래서 이웃 나라에서 일어나는 일에 관심을 갖는 것은 이제 당연한 일이 되었다. 그들의 문제가…
Read More

함께해요, 우리 – 나눔을 주제로 한 그림책

코로나19로 많은 이들이 힘든 시기를 겪고 있다. 그래도 우리는 지금 상황에서 주저앉지 않고 이를 극복하려고 노력 중이다. 자신보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어려운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 힘을 모으는 것이다. 혼자 하는 것보다 여럿이 함께하는 것이 훨씬 가치 있다는 것을 알고 실천하는 사람이 많다. 지금 시기에 꼭 필요한 나눔의 가치를 잘…
Read More

책을 읽고 함께 얘기해봐요! – 중학생과 독서 대화하기 좋은 책

‘한 사람이 열 권의 책을 읽는 것보다 열 사람이 한 권의 책을 읽는 것이 낫다’는 말이 있다. 함께 책을 읽는 것이 혼자 읽는 것보다 좋다는 뜻이다. 함께 책을 읽고 그 책으로 대화를 나누면 어떤 점이 좋을까? 다른 사람의 말을 들으면서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점을 깨달을 수 있다. 그러면서 홀로…
Read More

당당하게 읽자! – 청소년에게 권하는 만화책

고등학교 시절의 일이다. 동아리 활동 시간에 나는 만화 『삼국지』를 읽고 있었다. 그런 내 모습을 본 선생님은 나를 혼내셨다. 독서 시간에 왜 만화를 보고 있느냐면서. 지금은 만화를 보는 시선이 예전과 많이 달라졌다. 학교에선 만화를 수업 자료로 활용한다. 학교도서관에도 만화책이 많이 있다. 이제 만화는 학교에서 당당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여러분에게 재미있고…
Read More

질문? 질문! – 질문의 힘을 알 수 있는 책

수업 중에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을 때가 있다. “선생님, 결혼하셨어요?”, “키가 몇 cm예요?”, “오늘 급식 메뉴가 뭐예요?” 학생들이 던지는 엉뚱한 질문으로 수업의 흐름을 끊어질 때가 있다. 그럴 때마다 나는 어린아이처럼 질문하지 말라고 야단을 치곤 한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호기심이 많은 사람은 질문할 때가 많다. 그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이…
Read More

졸업하는 학생에게 권해주고 싶은 책 -여행을 주제로 쓴 책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이 지나면 졸업을 맞이한다. 유난히 힘들었던 2020년을 보내고 무사히 졸업하는 모든 학생들을 칭찬하고 싶다. 그리고 학교가 아닌 공간에서 한 해를 졸업하는 청소년에게도 박수를 보낸다. 졸업하는 학생에게 ‘좀 놀아’라고 말하고 싶지만 전염병으로 자유롭게 노는 것도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일상생활에 벗어나 여행을 떠나기 좋은 시기지만 자신 있게 권하지 못하겠다.…
Read More

졸업하는 중학생에게 권해주고 싶은 그림책

어느새 12월이 되었다. 코로나19로 개학이 연기되고, 온라인 수업을 시작한 것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기가 되었다. 올해 중학교 최고 학년인 3학년 학생들은 한 해를 보낸 아쉬움이 클 것이다. 코로나19로 수련활동, 교육여행, 체육대회 등 여러 학교 행사들이 취소되었기 때문에 학창 시절을 마무리할 수 있는 추억이 많지 않을 것이다. 그래도…
Read More

시가 시시하오 3 (독자맞춤)

시의 한 구절이 자신의 마음을 세차게 흔들 때가 있다. 나는 윤동주의 시를 읽으면서 그랬다.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윤동주의 <서시>의 첫 부분인데, 이 구절을 읽으면서 나의 행동을 돌이켜볼 때가 많다. 이렇게 시 한 편이 누군가의 인생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보면 시가 시시한 글만은…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