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우주와 나의 연결고리(이강환, 천문학자, 전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지구의 역사가 시작될 때부터 별은 하늘에 떠 있었습니다. 사실 별이 없었다면 지구의 역사도 시작될 수가 없었습니다. 인류가 하늘의 별의 바라보며 정체를 궁금해했던 것이 어쩌면 인류의 발전을 추동한 호기심의 시초였을지 모릅니다. 영원히 정체를 알 수 없을 것만 같았던 별에 대해서 이제는 많은 것을 알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별을 통해 우주의 비밀을 조금씩 알아나가고 있기도 합니다. 별을 이해하는 것은 우주를 이해하는 출발점입니다.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윤성철 지음|21세기북스|2020년|272쪽

“우리 몸은 빅뱅의 순간을 기억하는 우주 그 자체다. 동시에 별에서 온 먼지다. 결국 우주의 장엄한 역사를 품은 우리 모두가 우주 역사의 일부인 셈이다.” 별의 일생을 연구하는 천문학자인 윤성철 교수가 서울대학교의 인기 교양과목 <인간과 우주>의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쓴 책입니다.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는 모두 빅뱅과 별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우리가 어디에서 왔을까라는 인류의 근원적인 질문에 대한 가장 최신의 과학이 알려주는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모두별에서왔다 #윤성철 #빅뱅 #별의탄생 #별의진화 #인간과우주 #우주의진화 #외계생명


『리비트의 별』

168

조지 존슨 지음|김희준 옮김|이명균 감수|궁리|2011년|222쪽

우주를 연구하는데 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는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불과 100년 전만 해도 인류는 우리은하가 우주의 전부인지, 그 밖에 다른 은하가 존재하는지 알지 못했습니다. 허블 우주망원경 덕분에 유명한 에드윈 허블이 은하들의 거리를 측정하여 우주의 크기를 확장시켰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별까지의 거리를 잴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한 여성 천문학자 헨리에타 리비트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합니다. 현대 천문학의 기반이 되는 발견을 한 헨리에타 리비트이 삶을 통해 현대 천문학의 초입에서 벌어진 흥미로운 사건들을 보여줍니다.

#리비트의별 #조지존슨 #헨리에타리비트 #세페이드 #변광성 #우주의크기 #표준광원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심채경 지음|문학동네|2021년|272쪽

천문학을 전공했다고 하면 자기도 한때는 천문학자가 꿈이었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자주 만납니다. 천문학과 천문학자에 대한 막연한 동경을 가진 사람들은 많지만 정작 천문학자들이 어떤 일을 하는지는 대부분 잘 모릅니다. <네이처>가 미래의 달 과학을 이끌 과학자로 선정한 천문학자가 천문학자은 어떤 학문인지, 천문학자들은 어떤 일을 하고 어떤 생각을 하면서 사는지 소개해 줍니다. 어려운 과학책이라기보다는 단숨에 읽을 수 있는 에세이입니다.

#천문학자는별을보지않는다 #심채경 #천문학자 #천문학 #달탐사 #장래희망


『우주날씨 이야기』

황정아 지음|플루토|2019년|272쪽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태양입니다. 태양은 우리가 직접 탐사선을 보내 연구할 수 있는 우주 유일의 별입니다. 태양에서 수십억 년 동안 나오고 있는 에너지는 지구에 있는 모든 생명체의 근원이 되지만, 태양에서는 우리에게 치명적인 위험한 물질도 쉴새 없이 나오고 있습니다. 인공위성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현대에는 태양 활동의 영향을 과거보다 훨씬 더 크게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우주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지구에서의 날씨뿐만 아니라 우주의 날씨도 알아야 하고, 우주의 날씨를 알기 위해서는 태양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우주환경을 연구하며 인공위성을 만드는 과학자가 우주의 날씨를 알려드립니다.

#우주날씨이야기 #황정아 #우주날씨 #인공위성 #우주방사선 #태양풍 #고에너지입자


『우종학 교수의 블랙홀 강의』

우종학 지음|김영사|2019년|368쪽

우주에는 밝게 빛나는 별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빛이 빠져나오지 못해 보이지 않는 블랙홀도 엄연히 우주에 실제로 존재하는 천체입니다. 우주에 대한 강의를 하면 주제에 상관없이 언제나 나오는 질문 중 하나가 블랙홀입니다. 국내에서 실제 블랙홀을 연구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천문학자가 직접 블랙홀에 대해서 안내해 줍니다.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무지막지한 괴물 같은 이미지로 흔히 그려지는 블랙홀에 대한 많은 오해를 풀어주고, 보이지 않는 블랙홀을 어떻게 연구하는지 이해하게 해줍니다.

#우종학교수의블랙홀강의 #우종학 #블랙홀 #검은별 #퀘이사 #무거운별 #일반상대성이론 #아인슈타인


이강환

게스트 큐레이터

서울대학교 천문학과에서 천문학을 전공했고, 국립과천과학관 연구관,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 과기정통부 장관정책보좌관을 거쳤다. <우주의 끝을 찾아서> <빅뱅의 메아리> 등의 책을 저술했고, <신기한 스쿨버스> 시리즈를 비롯한 여러 과학책을 번역했다.

 
 

ㅊㅊㅊ에 실린 글의 저작권은 글쓴이에게, 이미지의 저작권은 창작자에게 있습니다.

 

모든 저작물은 비상업적 목적으로 다운로드, 인쇄, 복사, 공유, 수정, 변경할 수 있지만, 반드시 출처(bookteen.net)를 밝혀야 합니다. (CC BY-NC-SA)